아자드 카슈미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자드 카슈미르는 파키스탄이 통치하는 자치 지역으로, 1949년 휴전 이후 파키스탄에 통합되지 않고 통제되어 왔다. 1947년 인도 분할 당시 자무 카슈미르의 마하라자 하리 싱은 독립을 원했지만, 지역 무슬림들은 파키스탄 합류를 지지했다. 아자드 카슈미르는 대통령, 총리, 입법부, 고등 법원, 공식 기를 갖추고 있으며, 수도는 무자파라바드이다. 주요 민족은 구자르족, 수단족, 자트족 등이며, 우르두어가 공용어이지만 파하리-포트와리어, 구자리, 카슈미르어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된다. 경제는 농업, 관광, 송금에 기반하며, 관광 명소로는 무자파라바드, 네룸 계곡 등이 있다. 교육 수준은 파키스탄보다 높지만, 졸업률은 낮으며, 여러 대학교와 의과대학이 있다. 스포츠로는 축구, 크리켓이 인기 있으며, 카슈미르 프리미어 리그가 개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르두어권 - 비하르주
비하르 주는 인도 동부에 위치하며 오랜 역사를 지닌 지역으로, 불교 탄생지이자 강력한 왕조들의 중심지였으나 이슬람 침략과 식민 지배를 거치며 쇠퇴했고, 독립 후 사회경제적 어려움과 정치적 불안정을 겪었으며, 현재 농업이 주요 산업이고 다양한 문화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 우르두어권 - 잠무 카슈미르 (연방 직할지)
잠무 카슈미르는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영유권 분쟁 지역이며, 2019년 연방 직할지로 분할되었고, 스리나가르와 잠무가 주요 도시이며 서비스업, 농업, 관광 등이 경제의 기반이다. - 파키스탄의 주 - 길기트발티스탄
길기트발티스탄은 파키스탄 북부의 산악 지역으로, 다양한 문화가 융합되어 있고 파키스탄의 통제하에 자치권을 행사하며, 웅장한 자연경관과 전통 문화를 보유하고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 개발로 경제적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지만 기후변화에 취약하다. - 파키스탄의 주 - 신드주
신드 주는 파키스탄 남부에 위치하며 인더스 문명의 중심지였고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이슬람화가 진행, 수피즘 문화가 발달했으며 파키스탄 독립 후 파키스탄에 편입되어 다양한 종교와 문화를 지닌 주로서 카라치가 주요 도시이다. - 인도의 영토 분쟁 - 도클람
도클람은 부탄, 중국, 인도의 국경 지대로, 중국과 부탄 사이에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2017년 중국의 도로 건설로 인해 인도와 군사적 대치 상황이 발생했으나 상호 철수에 합의하며 종식되었다. - 인도의 영토 분쟁 - 길기트발티스탄
길기트발티스탄은 파키스탄 북부의 산악 지역으로, 다양한 문화가 융합되어 있고 파키스탄의 통제하에 자치권을 행사하며, 웅장한 자연경관과 전통 문화를 보유하고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 개발로 경제적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지만 기후변화에 취약하다.
아자드 카슈미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 | |
![]() | |
공식 명칭 | ||자유 잠무 카슈미르}} |
로마자 표기 | Azad Jammu and Kashmir |
별칭 | 자유 카슈미르 |
위치 | 카슈미르 지역의 북서부 |
관할 국가 | 파키스탄 |
행정 | |
유형 | 파키스탄의 자치 행정 구역 |
수도 | 무자파라바드 |
최대 도시 | 무자파라바드 |
설립일 | 1947년 10월 24일 (아자드 카슈미르의 날) |
정부 형태 | 파키스탄의 통치하에 있는 자치 정부 |
통치 기구 | 아자드 카슈미르 정부 |
대통령 | 술탄 메흐무드 초드리 |
총리 | 초드리 안와르 울 하크 |
수석 비서관 | 다우드 무함마드 바레크 |
입법부 |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입법 의회 |
최고 법원 |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대법원 |
경찰 총수 | 아미르 아흐메드 셰이크 |
대법원장 | 라자 사이드 아크람 칸 |
지리 | |
면적 | 13,297 km²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17년) | 4,045,366명 (증가)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민족 구성 | 구자르족 (다수) 수단족 (두 번째로 많음) 라지푸트족 (세 번째로 많음) |
언어 | 우르두어 (공식어) 파하리어-포트와리어 (주요 사용 언어) 기타 펀자브어 방언: 힌드코어, 펀자브어 기타 언어: 파하리어 (푼치), 고지리어, 파슈토어 |
인구 통계 | 아자드 카슈미르인 |
행정 구역 | |
디비전 | 3개 |
디스트릭트 | 10개 |
테실 | 33개 |
유니온 카운슬 | 182개 |
경제 및 사회 | |
인간 개발 지수 (2019년) | 0.612 (중간) (증가) |
문해율 (2017년) | 74% |
기타 정보 | |
시간대 | 파키스탄 표준시(PKT) |
UTC 오프셋 | +05:00 |
ISO 3166-2 | PK-AJK |
웹사이트 | 아자드 카슈미르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 명칭의 유래 ===
'아자드 카슈미르'(자유 카슈미르)는 1945년 푼치에서 열린 무슬림 회의 제13차 총회에서 발행된 팸플릿 제목이었다. 이는 국민 회의의 'Naya Kashmir'(새 카슈미르) 프로그램에 대한 대응으로 여겨진다. 자료에 따르면 이는 당에서 통과된 다양한 결의안을 모아놓은 것이었다. 그러나 그 의도는 잠무-카슈미르의 무슬림들이 별도의 고향(파키스탄)을 위한 무슬림 연맹의 투쟁에 헌신하고, 무슬림 회의가 카슈미르 무슬림의 유일한 대표 조직임을 선언하려는 것이었다.
이듬해, 당은 마하라자가 확대된 선거권을 기반으로 선출된 제헌 의회를 구성할 것을 요구하는 "아자드 카슈미르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학자 치트랄레카 주트시에 따르면, 이 조직의 선언된 목표는 인도나 파키스탄과 연관 없이 마하라자의 후원 아래 책임 있는 정부를 달성하는 것이었다.[11] 1947년 7월 19일, 당원들은 사르다르 이브라힘의 집에 모여 마하라자가 파키스탄에 가입할 것을 요구하며 결정을 뒤집었다.[12]
그 직후, 사르다르 이브라힘은 파키스탄으로 탈출하여 푼치 반란을 이끌었으며, 파키스탄의 총리 리아카트 알리 칸과 다른 관리들의 지원을 받았다. 리아카트 알리 칸은 미안 이프티카루딘을 수장으로 하는 위원회를 임명하여 "자유 선언" 초안을 작성하게 했다. 10월 4일, 아자드 카슈미르 임시 정부가 라호르에서 'Mr. Anwar'라는 가명으로 굴람 나비 길카르를 대통령으로, 사르다르 이브라힘을 총리로 선언했다. 길카르는 스리나가르로 여행을 갔다가 마하라자 정부에 체포되었다. 파키스탄 관리들은 이후 사르다르 이브라힘을 임시 정부의 대통령으로 임명했다.
=== 1947년 푼치 반란과 아자드 카슈미르 임시 정부 수립 ===
1947년 인도 분할 당시 영국은 번왕국에 대한 종주권을 포기했으며, 번왕국들은 인도나 파키스탄에 합류하거나 독립을 유지하는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다. 자무 카슈미르의 마하라자 하리 싱은 자신의 주가 독립을 유지하기를 원했다.[13][14] 1946년 인도의 지도에서 보이는 자무 카슈미르 번왕국에서 현재의 아자드 카슈미르는 서부 3개 지역의 일부를 구성한다. 자무 지역 서부(현재의 아자드 카슈미르)와 프론티어 지역(현재의 길기트-발티스탄)의 무슬림들은 파키스탄에 합류하기를 원했다.[15]
1947년 봄, 푼치에서 마하라자에 대한 봉기가 발생했다. 마하라자의 행정부는 농민들에게 징벌적 세금을 부과하여 지역 반란을 촉발했고, 행정부는 잔혹한 탄압으로 대응했다.[1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대 군인들로 인구가 증가한 이 지역은 마하라자의 군대에 반란을 일으켜 거의 전체 지역을 장악했다. 무자파라바드, 푼치, 미르푸르의 파키스탄 지지 지도자들은 1947년 10월 3일 라왈핀디에서 임시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정부를 선포했다.[15] 굴람 나비 길카르는 무자파라바드에서 임시 정부의 이름으로 선언문을 발표했으나, 곧 스리나가르에서 체포되면서 흐지부지되었다. 10월 24일, 팔란드리에서 사르다르 이브라힘 칸의 지도하에 두 번째 아자드 카슈미르 임시 정부가 설립되었다.
10월 21일, 수천 명의 파슈툰족 부족민들이 북서 변경 지방에서 자무 카슈미르로 몰려들었다. 이들은 숙련된 군사 지도자들의 지휘를 받았고 현대식 무기를 갖추고 있었다. 마하라자의 군대는 이들의 맹공을 견디지 못하고 무자파라바드와 바라물라를 점령당했다. 10월 24일, 마하라자는 인도에 군사 지원을 요청했고, 인도는 병합 문서를 통하여 국방, 외교, 통신의 통제권을 인도 정부에 넘기는 조건으로 응답했다.[16] 인도군은 즉시 스리나가르로 공수되었고,[5] 파키스탄군과 인도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두 통제 구역은 현재 "통제선"으로 알려진 곳을 중심으로 거의 안정되었다.[17]
인도는 유엔에 분쟁 해결을 요청했고, 카슈미르의 미래에 관한 국민 투표를 실시하는 데 찬성하는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그러나 양측의 선결 조건 미충족으로 인해 국민 투표는 실시되지 않았다.[18][19] 1949년, 인도와 파키스탄이 통제하는 카슈미르 지역을 분리하는 공식적인 휴전선이 발효되었다.
인도와의 1949년 휴전 협정에 따라 파키스탄 정부는 휴전 당시 통제하던 카슈미르의 북부와 서부 지역을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AJK)와 길기트-발티스탄의 두 개의 별도로 통제되는 정치적 실체로 나누었다.
===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분단 ===
1947년 인도 분할 당시 영국은 번왕국에 대한 종주권을 포기했으며, 번왕국들은 인도나 파키스탄에 합류하거나 독립을 유지하는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다. 자무 카슈미르의 마하라자 하리 싱은 자신의 주가 독립을 유지하기를 원했다.[13][14] 그러나 자무 지역 서부(현재의 아자드 카슈미르)와 프론티어 지역(현재의 길기트-발티스탄)의 무슬림들은 파키스탄에 합류하기를 원했다.[15]
1947년 봄, 푼치에서 마하라자에 대한 봉기가 발생했다. 마하라자의 행정부는 농민들에게 징벌적 세금을 부과하여 지역 반란을 촉발했고, 행정부는 잔혹한 탄압으로 대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대 군인들이 많았던 이 지역은 마하라자의 군대에 반란을 일으켜 거의 전체 지역을 장악했다. 1947년 10월 3일, 무자파라바드, 푼치, 미르푸르의 파키스탄 지지 지도자들은 라왈핀디에서 임시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정부를 선포했다.[15] 굴람 나비 길카르는 무자파라바드에서 임시 정부의 이름으로 선언문을 발표했지만, 이 정부는 곧 흐지부지되었다. 10월 24일, 사르다르 이브라힘 칸의 지도하에 팔란드리에서 두 번째 아자드 카슈미르 임시 정부가 설립되었다.
10월 21일, 수천 명의 파슈툰족 부족민들이 북서 변경 지방에서 자무 카슈미르로 몰려들었다. 마하라자의 군대는 이들의 맹공을 견디지 못하고 무자파라바드와 바라물라를 점령당했다. 10월 24일, 마하라자는 인도에 군사 지원을 요청했고, 인도는 그가 인도에 가입하지 않으면 도울 수 없다고 응답했다. 1947년 10월 26일, 마하라자 하리 싱은 군사 원조를 대가로 국방, 외교, 통신의 통제권을 인도 정부에 넘기는 병합 문서에 서명했다.[16] 인도군은 즉시 스리나가르로 공수되었고, 파키스탄도 개입하여,전투가 벌어졌다.[5] 두 통제 구역은 현재 "통제선"으로 알려진 곳을 중심으로 거의 안정되었다.[17]
인도는 유엔에 분쟁 해결을 요청했고, 카슈미르의 미래에 관한 국민 투표를 실시하는 데 찬성하는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그러나 파키스탄군과 비국가적 요소의 철수와 이어서 인도군의 부분적인 철수를 요구하는 선결 조건이 있었기 때문에 양측에서 그러한 국민 투표는 한 번도 실시되지 않았다[18][19] 1949년, 인도와 파키스탄이 통제하는 카슈미르 지역을 분리하는 공식적인 휴전선이 발효되었다.
1949년 휴전 협정에 따라 파키스탄 정부는 휴전 당시 통제하던 카슈미르의 북부와 서부 지역을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AJK)와 길기트-발티스탄의 두 개의 별도로 통제되는 정치적 실체로 나누었다.
1955년에는 푼치 봉기가 발생하여 1956년에 끝났다. 1970년, 야흐야 칸의 군사 행정부는 아자드 카슈미르에 대통령제, 선출된 입법부 및 '상당한' 자치를 제공하는 '1970년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정부법'을 공포했다.[20] 파키스탄의 당시 총리인 줄피카르 알리 부토는 1974년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임시 헌법법'을 강요했다.[20]
헌법은 카슈미르에 자체 대통령, 총리, 고등 법원, 대법원 등을 제공한다.[22] 무자파라바드에서 통과된 AJK 헌법의 제13차 수정안은 AJK 정부에 권한을 부여하고, 선출된 의회의 권한을 강화했으며, 아자드 카슈미르에 더 큰 재정적 및 행정적 권한을 부여하고, 연방 영토를 더 자율적으로 만들려고 했다.[23]
과거 파키스탄의 통제를 받았던 카슈미르의 샥삼 지역은 1963년에 파키스탄이 중화인민공화국에 임시로 할양하여 현재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1972년, 인도와 파키스탄이 통제하는 카슈미르 지역의 당시 국경은 "통제선"으로 지정되었다. 이 선은 1972년 심라 협정 이후 변경되지 않았으며, 이 협정은 두 국가가 "양자 협상을 통해 평화적인 방법으로 차이점을 해결"하도록 묶었다.[25] 1974년 임시 헌법 법은 48명의 구성원으로 구성된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단원제 의회에서 통과되었다.[26]
1997년 4월, 나와즈 샤리프 정부는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에 헌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것을 거부했다.[27]
=== 파키스탄의 통제와 자치권 문제 ===
1949년 휴전 이후 파키스탄은 아자드 카슈미르를 자국에 통합하지 않고 통제해 왔다.[29][30] 아자드 카슈미르는 명목상 대통령, 총리, 입법부, 고등 법원, 공식 기를 갖춘 자치 국가이다.[31] 무자파라바드는 아자드 카슈미르의 수도이다.
아자드 카슈미르의 예산 및 세금은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의회에서 처리한다. 의회는 파키스탄 총리가 의장을 맡으며, 아자드 카슈미르 대통령과 총리, AJK 입법부 의원 등으로 구성된다.[31][30] 1947년 10월 24일은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정부 수립일로 기념된다. 파키스탄은 1990년부터 매년 2월 5일을 카슈미르 연대 의 날로 지정하여 인도령 잠무 카슈미르에 대한 반대 시위를 벌이고 있으며, 이는 파키스탄의 공휴일이다.[32][33] 또한 파키스탄은 1947년부터 매년 10월 27일을 잠무 카슈미르 자치령의 인도 병합에 대한 항의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휴먼 라이츠 워치는 2006년에 아자드 카슈미르 주민들의 기본적인 자유가 파키스탄 당국에 의해 엄격하게 통제되고 있다고 밝혔다.[34] 학자 크리스토퍼 스네든은 아자드 카슈미르 주민들이 파키스탄의 통제를 대체로 수용해 왔으며, 이는 대부분 파키스탄인들이 대우받는 방식과 다르지 않다고 언급했다.[35] 그는 아자드 카슈미르 주민들이 항상 파키스탄의 일부가 되기를 원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35]
파키스탄은 연방 카슈미르 사무부를 통해 아자드 카슈미르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1970년대의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진정한 자치 정부를 허용하지 않았다.[35] 1970년대에 작성된 임시 헌법에 따르면, 파키스탄에 충성을 맹세하는 정당만이 존재할 수 있으며, 친독립 잠무 카슈미르 해방 전선은 선거에 참여할 수 없었다.[35] 아자드 카슈미르는 법적인 의미를 제외하고는 파키스탄에 완전히 통합되었다.[35]
한편, 아자드 카슈미르에는 YFK-국제 카슈미르 로비 그룹과 같이 카슈미르 분쟁 해결과 인도-파키스탄 관계 개선을 추구하는 시민 사회 단체도 활동하고 있다.
2. 1. 명칭의 유래
'아자드 카슈미르'(자유 카슈미르)는 1945년 푼치에서 열린 무슬림 회의 제13차 총회에서 발행된 팸플릿 제목이었다. 이는 국민 회의의 'Naya Kashmir'(새 카슈미르) 프로그램에 대한 대응으로 여겨진다. 자료에 따르면 이는 당에서 통과된 다양한 결의안을 모아놓은 것이었다. 그러나 그 의도는 잠무-카슈미르의 무슬림들이 별도의 고향(파키스탄)을 위한 무슬림 연맹의 투쟁에 헌신하고, 무슬림 회의가 카슈미르 무슬림의 유일한 대표 조직임을 선언하려는 것이었다.이듬해, 당은 마하라자가 확대된 선거권을 기반으로 선출된 제헌 의회를 구성할 것을 요구하는 "아자드 카슈미르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학자 치트랄레카 주트시에 따르면, 이 조직의 선언된 목표는 인도나 파키스탄과 연관 없이 마하라자의 후원 아래 책임 있는 정부를 달성하는 것이었다.[11] 1947년 7월 19일, 당원들은 사르다르 이브라힘의 집에 모여 마하라자가 파키스탄에 가입할 것을 요구하며 결정을 뒤집었다.[12]
그 직후, 사르다르 이브라힘은 파키스탄으로 탈출하여 푼치 반란을 이끌었으며, 파키스탄의 총리 리아카트 알리 칸과 다른 관리들의 지원을 받았다. 리아카트 알리 칸은 미안 이프티카루딘을 수장으로 하는 위원회를 임명하여 "자유 선언" 초안을 작성하게 했다. 10월 4일, 아자드 카슈미르 임시 정부가 라호르에서 'Mr. Anwar'라는 가명으로 굴람 나비 길카르를 대통령으로, 사르다르 이브라힘을 총리로 선언했다. 길카르는 스리나가르로 여행을 갔다가 마하라자 정부에 체포되었다. 파키스탄 관리들은 이후 사르다르 이브라힘을 임시 정부의 대통령으로 임명했다.
2. 2. 1947년 푼치 반란과 아자드 카슈미르 임시 정부 수립
1947년 인도 분할 당시 영국은 번왕국에 대한 종주권을 포기했으며, 번왕국들은 인도나 파키스탄에 합류하거나 독립을 유지하는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다. 자무 카슈미르의 마하라자 하리 싱은 자신의 주가 독립을 유지하기를 원했다.[13][14] 1946년 인도의 지도에서 보이는 자무 카슈미르 번왕국에서 현재의 아자드 카슈미르는 서부 3개 지역의 일부를 구성한다. 자무 지역 서부(현재의 아자드 카슈미르)와 프론티어 지역(현재의 길기트-발티스탄)의 무슬림들은 파키스탄에 합류하기를 원했다.[15]1947년 봄, 푼치에서 마하라자에 대한 봉기가 발생했다. 마하라자의 행정부는 농민들에게 징벌적 세금을 부과하여 지역 반란을 촉발했고, 행정부는 잔혹한 탄압으로 대응했다.[1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대 군인들로 인구가 증가한 이 지역은 마하라자의 군대에 반란을 일으켜 거의 전체 지역을 장악했다. 무자파라바드, 푼치, 미르푸르의 파키스탄 지지 지도자들은 1947년 10월 3일 라왈핀디에서 임시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정부를 선포했다.[15] 굴람 나비 길카르는 무자파라바드에서 임시 정부의 이름으로 선언문을 발표했으나, 곧 스리나가르에서 체포되면서 흐지부지되었다. 10월 24일, 팔란드리에서 사르다르 이브라힘 칸의 지도하에 두 번째 아자드 카슈미르 임시 정부가 설립되었다.
10월 21일, 수천 명의 파슈툰족 부족민들이 북서 변경 지방에서 자무 카슈미르로 몰려들었다. 이들은 숙련된 군사 지도자들의 지휘를 받았고 현대식 무기를 갖추고 있었다. 마하라자의 군대는 이들의 맹공을 견디지 못하고 무자파라바드와 바라물라를 점령당했다. 10월 24일, 마하라자는 인도에 군사 지원을 요청했고, 인도는 병합 문서를 통하여 국방, 외교, 통신의 통제권을 인도 정부에 넘기는 조건으로 응답했다.[16] 인도군은 즉시 스리나가르로 공수되었고,[5] 파키스탄군과 인도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두 통제 구역은 현재 "통제선"으로 알려진 곳을 중심으로 거의 안정되었다.[17]
인도는 유엔에 분쟁 해결을 요청했고, 카슈미르의 미래에 관한 국민 투표를 실시하는 데 찬성하는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그러나 양측의 선결 조건 미충족으로 인해 국민 투표는 실시되지 않았다.[18][19] 1949년, 인도와 파키스탄이 통제하는 카슈미르 지역을 분리하는 공식적인 휴전선이 발효되었다.
인도와의 1949년 휴전 협정에 따라 파키스탄 정부는 휴전 당시 통제하던 카슈미르의 북부와 서부 지역을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AJK)와 길기트-발티스탄의 두 개의 별도로 통제되는 정치적 실체로 나누었다.
2. 3.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분단
1947년 인도 분할 당시 영국은 번왕국에 대한 종주권을 포기했으며, 번왕국들은 인도나 파키스탄에 합류하거나 독립을 유지하는 선택지를 가지게 되었다. 자무 카슈미르의 마하라자 하리 싱은 자신의 주가 독립을 유지하기를 원했다.[13][14] 그러나 자무 지역 서부(현재의 아자드 카슈미르)와 프론티어 지역(현재의 길기트-발티스탄)의 무슬림들은 파키스탄에 합류하기를 원했다.[15]1947년 봄, 푼치에서 마하라자에 대한 봉기가 발생했다. 마하라자의 행정부는 농민들에게 징벌적 세금을 부과하여 지역 반란을 촉발했고, 행정부는 잔혹한 탄압으로 대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대 군인들이 많았던 이 지역은 마하라자의 군대에 반란을 일으켜 거의 전체 지역을 장악했다. 1947년 10월 3일, 무자파라바드, 푼치, 미르푸르의 파키스탄 지지 지도자들은 라왈핀디에서 임시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정부를 선포했다.[15] 굴람 나비 길카르는 무자파라바드에서 임시 정부의 이름으로 선언문을 발표했지만, 이 정부는 곧 흐지부지되었다. 10월 24일, 사르다르 이브라힘 칸의 지도하에 팔란드리에서 두 번째 아자드 카슈미르 임시 정부가 설립되었다.
10월 21일, 수천 명의 파슈툰족 부족민들이 북서 변경 지방에서 자무 카슈미르로 몰려들었다. 마하라자의 군대는 이들의 맹공을 견디지 못하고 무자파라바드와 바라물라를 점령당했다. 10월 24일, 마하라자는 인도에 군사 지원을 요청했고, 인도는 그가 인도에 가입하지 않으면 도울 수 없다고 응답했다. 1947년 10월 26일, 마하라자 하리 싱은 군사 원조를 대가로 국방, 외교, 통신의 통제권을 인도 정부에 넘기는 병합 문서에 서명했다.[16] 인도군은 즉시 스리나가르로 공수되었고, 파키스탄도 개입하여,전투가 벌어졌다.[5] 두 통제 구역은 현재 "통제선"으로 알려진 곳을 중심으로 거의 안정되었다.[17]
인도는 유엔에 분쟁 해결을 요청했고, 카슈미르의 미래에 관한 국민 투표를 실시하는 데 찬성하는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그러나 파키스탄군과 비국가적 요소의 철수와 이어서 인도군의 부분적인 철수를 요구하는 선결 조건이 있었기 때문에 양측에서 그러한 국민 투표는 한 번도 실시되지 않았다[18][19] 1949년, 인도와 파키스탄이 통제하는 카슈미르 지역을 분리하는 공식적인 휴전선이 발효되었다.
1949년 휴전 협정에 따라 파키스탄 정부는 휴전 당시 통제하던 카슈미르의 북부와 서부 지역을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AJK)와 길기트-발티스탄의 두 개의 별도로 통제되는 정치적 실체로 나누었다.
1955년에는 푼치 봉기가 발생하여 1956년에 끝났다. 1970년, 야흐야 칸의 군사 행정부는 아자드 카슈미르에 대통령제, 선출된 입법부 및 '상당한' 자치를 제공하는 '1970년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정부법'을 공포했다.[20] 파키스탄의 당시 총리인 줄피카르 알리 부토는 1974년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임시 헌법법'을 강요했다.[20] 더 프라이데이 타임스의 다니스 칸은 이 발전을 "시민들이 정치 엘리트의 관심을 기본적인 사회 경제적 및 개발적 문제에 집중할 수 있는 길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21]
헌법은 카슈미르에 자체 대통령, 총리, 고등 법원, 대법원 등을 제공한다.[22] 무자파라바드에서 통과된 AJK 헌법의 제13차 수정안은 AJK 정부에 권한을 부여하고, 선출된 의회의 권한을 강화했으며, 아자드 카슈미르에 더 큰 재정적 및 행정적 권한을 부여하고, 연방 영토를 더 자율적으로 만들려고 했다.[23]
과거 파키스탄의 통제를 받았던 카슈미르의 샥삼 지역은 1963년에 파키스탄이 중화인민공화국에 임시로 할양하여 현재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1972년, 인도와 파키스탄이 통제하는 카슈미르 지역의 당시 국경은 "통제선"으로 지정되었다. 이 선은 1972년 심라 협정 이후 변경되지 않았으며, 이 협정은 두 국가가 "양자 협상을 통해 평화적인 방법으로 차이점을 해결"하도록 묶었다.[25] 1974년 임시 헌법 법은 48명의 구성원으로 구성된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단원제 의회에서 통과되었다.[26]
1997년 4월, 나와즈 샤리프 정부는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에 헌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것을 거부했다.[27]
2. 4. 파키스탄의 통제와 자치권 문제
1949년 휴전 이후 파키스탄은 아자드 카슈미르를 자국에 통합하지 않고 통제해 왔다.[29][30] 아자드 카슈미르는 명목상 대통령, 총리, 입법부, 고등 법원, 공식 기를 갖춘 자치 국가이다.[31] 무자파라바드는 아자드 카슈미르의 수도이다.아자드 카슈미르의 예산 및 세금은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의회에서 처리한다. 의회는 파키스탄 총리가 의장을 맡으며, 아자드 카슈미르 대통령과 총리, AJK 입법부 의원 등으로 구성된다.[31][30] 1947년 10월 24일은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정부 수립일로 기념된다. 파키스탄은 1990년부터 매년 2월 5일을 카슈미르 연대 의 날로 지정하여 인도령 잠무 카슈미르에 대한 반대 시위를 벌이고 있으며, 이는 파키스탄의 공휴일이다.[32][33] 또한 파키스탄은 1947년부터 매년 10월 27일을 잠무 카슈미르 자치령의 인도 병합에 대한 항의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휴먼 라이츠 워치는 2006년에 아자드 카슈미르 주민들의 기본적인 자유가 파키스탄 당국에 의해 엄격하게 통제되고 있다고 밝혔다.[34] 학자 크리스토퍼 스네든은 아자드 카슈미르 주민들이 파키스탄의 통제를 대체로 수용해 왔으며, 이는 대부분 파키스탄인들이 대우받는 방식과 다르지 않다고 언급했다.[35] 그는 아자드 카슈미르 주민들이 항상 파키스탄의 일부가 되기를 원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35]
파키스탄은 연방 카슈미르 사무부를 통해 아자드 카슈미르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1970년대의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진정한 자치 정부를 허용하지 않았다.[35] 1970년대에 작성된 임시 헌법에 따르면, 파키스탄에 충성을 맹세하는 정당만이 존재할 수 있으며, 친독립 잠무 카슈미르 해방 전선은 선거에 참여할 수 없었다.[35] 아자드 카슈미르는 법적인 의미를 제외하고는 파키스탄에 완전히 통합되었다.[35]
한편, 아자드 카슈미르에는 YFK-국제 카슈미르 로비 그룹과 같이 카슈미르 분쟁 해결과 인도-파키스탄 관계 개선을 추구하는 시민 사회 단체도 활동하고 있다.
3. 지리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의 북부 지역은 히말라야 산맥의 낮은 지역을 포함하며, 잠가르 봉우리(4734m)가 위치해 있다. 하지만 네룸 계곡에 있는 사르왈리 봉우리(6326m)는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29]
이 지역은 겨울과 여름 모두 강우량을 기록한다. 무자파라바드와 파탄은 파키스탄에서 가장 습한 지역에 속한다. 이 지역 대부분에서 평균 강수량은 1400mm를 초과하며, 무자파라바드 인근(약 1800mm)에서 가장 높은 평균 강수량을 보인다. 여름철에는 극심한 강우와 눈 녹음으로 인해 젤룸 강과 리파 강에서 몬순 홍수가 흔하게 발생한다.
3. 1. 기후
아자드 카슈미르의 기후는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남부 지역인 빔버 구, 미르푸르 구, 코틀리 구는 여름에 매우 덥고 겨울에는 온화하며, 주로 몬순의 영향으로 비가 많이 내린다.

주의 중부 및 북부 지역은 여름에는 적당히 덥고 겨울에는 추우며, 12월과 1월에는 눈이 내리기도 한다. 이 지역은 겨울과 여름 모두 강우가 있다. 무자파라바드와 파탄은 주에서 가장 강수량이 많은 지역에 속하지만, 눈은 내리지 않는다. 지역 대부분의 평균 강수량은 1400mm를 넘고, 무자파라바드 인근은 평균 강수량이 약 1800mm로 가장 높다. 여름철에는 많은 비와 눈이 녹아 잘룸강과 리파강에서 몬순 홍수가 자주 발생한다.
4. 행정 구역
아자드 카슈미르는 행정적으로 3개의 분할로 나뉘며, 이는 다시 10개의 구로 세분된다.[38]
분할 | 구 | 면적 (km2) | 인구 (2017년 인구 조사) | 본부 |
---|---|---|---|---|
미르푸르 | 미르푸르 | 1,010 | 456,200 | 뉴 미르푸르 시 |
코틀리 | 1,862 | 774,194 | 코틀리 | |
빔베르 | 1,516 | 420,624 | 빔베르 | |
무자파라바드 | 무자파라바드 | 1,642 | 650,370 | 무자파라바드 |
하티안 | 854 | 230,529 | 하티안 발라 | |
닐람 밸리 | 3,621 | 191,251 | 아스무캄 | |
푼치 | 푼치 | 855 | 500,571 | 라왈라코트 |
하벨리 | 600 | 152,124 | 포워드 카후타 | |
바그 | 768 | 371,919 | 바그 | |
수다노티 | 569 | 297,584 | 팔란드리 | |
총계 | 10개 구 | 13,297 | 4,045,366 | 무자파라바드 |
5. 정치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AJK)는 명목상 자치 국가이다.[28] 1949년 인도와 파키스탄 군대 간의 휴전 이후 파키스탄은 아자드 카슈미르를 자국에 통합하지 않고 이 지역을 통제해 왔다.[29][30] 아자드 카슈미르는 자체적으로 선출된 대통령, 총리, 입법부, 고등 법원 (현재의 대법원장은 아잠 칸) 및 공식 기를 가지고 있다.[31]
아자드 카슈미르의 예산 및 세금 관련 문제는 파키스탄 중앙 세무국이 아닌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의회에서 처리한다.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의회는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정부 8명과 파키스탄 정부 6명 등 총 14명으로 구성된 최고 기관이며, 의장은 파키스탄 총리가 맡는다. 의회의 다른 구성원으로는 아자드 카슈미르 대통령과 총리(또는 그가 지명한 개인) 및 AJK 입법부의 6명의 의원이 있다.[31][30] 아자드 카슈미르의 날은 1947년에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정부가 수립된 날인 10월 24일에 기념된다.
파키스탄은 1990년부터 매년 2월 5일을 카슈미르 연대 의 날로 지정하여 인도의 자치령인 잠무 카슈미르에 대한 반대 시위를 벌이고 있으며, 이날은 파키스탄의 공휴일이다.[32][33] 파키스탄은 1947년부터 매년 10월 27일을 카슈미르의 병합의 날로 지정하여 잠무 카슈미르 자치령의 인도 병합 및 인도 통제 지역의 군사 주둔에 대한 항의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미국에 본부를 둔 NGO 휴먼 라이츠 워치의 아시아 담당 이사인 브래드 아담스는 2006년에 "아자드는 '자유'를 의미하지만, 아자드 카슈미르 주민들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파키스탄 당국은 기본적인 자유를 엄격하게 통제하며 아자드 카슈미르 정부를 통치합니다."라고 말했다.[34] 학자 크리스토퍼 스네든은 엄격한 통제에도 불구하고 아자드 카슈미르 주민들은 파키스탄이 그들에게 행한 모든 것을 받아들였으며, 이는 대부분의 파키스탄인들이 대우받은 방식과 거의 다르지 않다고 언급했다. 크리스토퍼 스네든에 따르면, 아자드 카슈미르 주민들이 항상 파키스탄의 일부가 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35]
친파키스탄적이고 선택의 여지가 없는 주민들에게 두려워할 것이 거의 없기 때문에,[35] 파키스탄은 연방 카슈미르 사무부를 통해 그들의 의지를 강요했고, 아자드 카슈미르 주민들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데 실패했으며, 1970년대에 짧은 기간 동안 진정한 자치 정부만 허용했다. 1970년대에 작성된 임시 헌법에 따르면, 파키스탄에 충성을 맹세하는 정당만 존재할 수 있다.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의 어떤 개인이나 정당도 ... 국가의 파키스탄 병합에 유해하거나 해로운 활동을 할 수 없다."[35] 친독립 잠무 카슈미르 해방 전선은 아자드 카슈미르에서 선거에 출마하는 것이 허용된 적이 없다. 임시 헌법은 그들에게 선택의 여지를 주지 않지만, 아자드 카슈미르 주민들은 파키스탄에 합류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을 고려한 적이 없다.[35] 법적인 의미를 제외하고, 아자드 카슈미르는 파키스탄에 완전히 통합되었다.[35]
아자드 카슈미르는 활기찬 시민 사회의 본거지이다. 이 지역과 파키스탄 내부에서 활동하는 단체 중 하나는 카슈미르의 분쟁 해결을 통해 더 나은 인도-파키스탄 관계를 추구하는 NGO인 YFK-국제 카슈미르 로비 그룹이다.
5. 1. 제한적인 자치권
5. 2. 친파키스탄 성향과 독립 운동의 어려움
6. 주민
2017년 인구 조사의 예비 결과에 따르면 아자드 카슈미르의 인구는 404만 5천 명이다.[39] 아자드 카슈미르 정부 웹사이트에 따르면 문맹률은 74%이며, 초등학교 등록률은 남학생 98%, 여학생 90%이다.[40]
아자드 카슈미르 인구는 거의 전적으로 무슬림이다. 이 지역 사람들은 잠무 카슈미르의 카슈미르 계곡에 사는 카슈미르인들과 문화적으로 다르며, 잠무의 문화와 더 가깝다. 미르푸르, 코틀리, 빔버는 모두 잠무 지역의 오래된 도시이다.[41]
==== 민족 구성 ====
크리스토퍼 스네든은 아자드 카슈미르의 토착 주민 대부분이 카슈미르인 민족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오히려 이들은 인접한 펀자브 지역 및 하자라 지역과 역사적, 문화적 연관성을 가지며, "잠무인"이라고 불릴 수 있다고 한다.[49][50] 이 지역은 이전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의 일부였기 때문에 많은 아자드 카슈미르인들이 "카슈미르인" 정체성을 채택했지만, 민족 언어학적 맥락에서 "카슈미르인"은 카슈미르 계곡 지역의 원주민을 지칭한다.[51] 아자드 카슈미르 인구는 파키스탄의 상부 펀자브 및 포토하르 고원 지역과 강한 역사적, 문화적, 언어적 친족 관계를 맺고 있다.[52][53] 수단은 파슈툰족의 구전 전통을 가지고 있다.[54]
이 지역에 거주하는 주요 민족은 다음과 같다.[55]
- 구자르 - 농업 부족이며, 아자드 카슈미르의 10개 구에 거주하는 최대 규모의 공동체로 추산된다.[55][56][57] 약 80만 명으로 추산된다.[58]
- 수단 - (사도자이, 사다르로도 알려짐)는 푼치, 수다노티, 바그, 코틀리 구에 주로 거주하는 두 번째로 큰 부족이다. 파슈툰 지역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59][55][56] 인구는 50만 명이 넘으며, 라지푸트족과 함께 아자드 카슈미르 정치 계급의 주요 원천이다.[58]
- 자트족 - 아자드 카슈미르의 더 큰 공동체 중 하나이며 주로 미르푸르, 빔베르, 코틀리 구에 거주한다. 많은 미르푸리 인구가 영국에 거주하고 있으며, 미르푸리 출신의 사람들이 미르푸르 구보다 영국에 더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 지역은 영국과 강한 유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55][60] 미르푸리 자트족은 약 30만 명이다.[58]
- 라지푸트 - 영토 전역에 퍼져 있으며, 그 수는 50만 명에 약간 못 미친다. 수단족과 함께 아자드 카슈미르 정치 계급의 주요 원천이다.[58]
- 무굴족 - 주로 바그 및 무자파라바드 구에 위치한다.[57]
- 아완 -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에 상당수가 거주하는 씨족으로, 주로 바그, 푼치, 하티안 발라, 무자파라바드에 거주한다. 아완족은 또한 파키스탄의 펀자브 및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에도 다수 거주한다.[55][56][57]
- 둔드 -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의 대규모 씨족으로, 주로 바그, 하티안 발라, 무자파라바드 구에 거주한다. 아보타바드와 상부 포토하르 펀자브에도 다수 거주한다.[55][56][57]
- 카슈미르인 - 민족 카슈미르인 인구는 닐람 계곡과 리파 계곡에서 발견된다(아자드 카슈미르의 카슈미르인 참조).[61]
==== 종교 ====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는 거의 전적으로 무슬림 인구로 구성되어 있다.[42] 기독교 커뮤니티 단체에서 관리하는 데이터에 따르면, 이 지역에는 약 4,500명의 기독교 주민이 있으며, 대부분 비임버에 거주하고 미르푸르와 무자파라바드가 그 뒤를 잇는다. 그러나 기독교 공동체는 AJK에서 주거 지위와 재산권을 얻기 위해 고군분투해 왔다.
아흐마디 신앙을 따르는 사람들은 20,000명에서 25,000명 사이로 추산되며, 그들 대부분은 코틀리, 미르푸르, 비임버, 무자파라바드에 거주한다.[42]
바하이 신자 전체 수에 대한 공식 데이터는 없지만, 무자파라바드에는 6가구의 바하이 가정이 살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은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교 단체 | 1891[43] | 1901[44] | 1911[45] | 1921[46] | 1931[47] | 1941[48] | ||||||||
---|---|---|---|---|---|---|---|---|---|---|---|---|---|---|
인구 | % | 인구 | % | 인구 | % | 인구 | % | 인구 | % | 인구 | % | |||
이슬람교 | 659,265 | 86.87% | 747,426 | 85.62% | 749,945 | 87.76% | 780,607 | 88.02% | 850,135 | 87.68% | 939,460 | 87.56% | ||
힌두교 | 92,639 | 12.21% | 108,331 | 12.41% | 84,130 | 9.85% | 81,733 | 9.22% | 87,554 | 9.03% | 93,559 | 8.72% | ||
시크교 | 6,918 | 0.91% | 17,132 | 1.96% | 20,391 | 2.39% | 24,491 | 2.76% | 31,709 | 3.27% | 39,910 | 3.72% | ||
자이나교 | 64 | 0.01% | 0 | 0.00% | 8 | 0.00% | 6 | 0.00% | 11 | 0.00% | 0 | 0.00% | ||
기독교 | 21 | 0.00% | 18 | 0.00% | 55 | 0.01% | 24 | 0.00% | 168 | 0.02% | 136 | 0.01% | ||
불교 | 0 | 0.00% | 0 | 0.00% | 2 | 0.00% | 0 | 0.00% | 0 | 0.00% | 0 | 0.00% | ||
조로아스터교 | 0 | 0.00% | 0 | 0.00% | 0 | 0.00% | 0 | 0.00% | 1 | 0.00% | 0 | 0.00% | ||
부족 | 0 | 0.00% | — | — | — | — | — | — | 0 | 0.00% | 0 | 0.00% | ||
유대교 | — | — | — | — | — | — | — | — | — | — | 0 | 0.00% | ||
기타 | 0 | 0.00% | 8 | 0.00% | 0 | 0.00% | 0 | 0.00% | 0 | 0.00% | 89 | 0.01% | ||
총 인구 | 758,907 | 100.00% | 872,915 | 100.00% | 854,531 | 100.00% | 886,861 | 100.00% | 969,578 | 100.00% | 1,073,154 | 100.00% | ||
==== 언어 ====
아자드 카슈미르의 공용어는 우르두어이며, 영어는 더 높은 영역에서 사용된다.[63] 그러나 인구의 대다수는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는 파하리-포트와리로 여러 방언을 가지고 있다.[62] 파하리-포트와리 언어 복합체의 방언은 아자드 카슈미르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남쪽의 펀자브어와 북서쪽의 힌드코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64] 아자드 카슈미르 남부 지역의 언어는 ''미르푸리'', ''포트와리'', ''파하리'' 등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펀자브의 포토하르 지역 동부에서 사용되는 포트와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아자드 카슈미르 중앙 지역의 방언은 ''치발리'' 또는 ''펀치''라고도 불리지만, 화자들은 일반적으로 ''파하리''라고 부른다. 북쪽으로 갈수록, 언어 형태는 점차 힌드코어로 바뀌며, 무자파라바드 구에서는 ''힌드코''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여전히 파하리의 핵심 방언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64] 닐람 계곡에서는 지역적으로 ''파르미''라고도 알려진 방언이 더 명확하게 힌드코어에 포함될 수 있다.
고자리는 아자드 카슈미르의 또 다른 주요 언어이다. 전통적으로 유목민인 구자르족 사이에서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이 언어를 사용하며, 라자스탄어군 (특히 메와티어)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고, 펀자브어와도 특징을 공유한다.[65] 파키스탄 내에서 아자드 카슈미르의 고자리 방언은 인접한 하자라 지역의 구자르 방언과 더 유사하다.[65]
카슈미르어 화자들의 흩어진 공동체가 있으며,[66] 특히 닐람 계곡에서는 힌드코어 화자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언어 집단을 형성한다.[67] 카슈미르 무슬림들이 자신의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긴 것은 카슈미르어가 아닌 우르두어였다.[67]
최남단 빔버 구에는 도그리 화자들이 있으며, 이들은 구 인구의 거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62] 최북단 네룸 구에는 시나어, 파슈토어, 쿤달 샤히어를 사용하는 작은 공동체들이 있다.
6. 1. 민족 구성
크리스토퍼 스네든은 아자드 카슈미르의 토착 주민 대부분이 카슈미르인 민족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오히려 이들은 인접한 펀자브 지역 및 하자라 지역과 역사적, 문화적 연관성을 가지며, "잠무인"이라고 불릴 수 있다고 한다.[49][50] 이 지역은 이전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의 일부였기 때문에 많은 아자드 카슈미르인들이 "카슈미르인" 정체성을 채택했지만, 민족 언어학적 맥락에서 "카슈미르인"은 카슈미르 계곡 지역의 원주민을 지칭한다.[51] 아자드 카슈미르 인구는 파키스탄의 상부 펀자브 및 포토하르 고원 지역과 강한 역사적, 문화적, 언어적 친족 관계를 맺고 있다.[52][53] 수단은 파슈툰족의 구전 전통을 가지고 있다.[54]이 지역에 거주하는 주요 민족은 다음과 같다.[55]
- 구자르 - 농업 부족이며, 아자드 카슈미르의 10개 구에 거주하는 최대 규모의 공동체로 추산된다.[55][56][57] 약 80만 명으로 추산된다.[58]
- 수단 - (사도자이, 사다르로도 알려짐)는 푼치, 수다노티, 바그, 코틀리 구에 주로 거주하는 두 번째로 큰 부족이다. 파슈툰 지역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59][55][56] 인구는 50만 명이 넘으며, 라지푸트족과 함께 아자드 카슈미르 정치 계급의 주요 원천이다.[58]
- 자트족 - 아자드 카슈미르의 더 큰 공동체 중 하나이며 주로 미르푸르, 빔베르, 코틀리 구에 거주한다. 많은 미르푸리 인구가 영국에 거주하고 있으며, 미르푸리 출신의 사람들이 미르푸르 구보다 영국에 더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 지역은 영국과 강한 유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55][60] 미르푸리 자트족은 약 30만 명이다.[58]
- 라지푸트 - 영토 전역에 퍼져 있으며, 그 수는 50만 명에 약간 못 미친다. 수단족과 함께 아자드 카슈미르 정치 계급의 주요 원천이다.[58]
- 무굴족 - 주로 바그 및 무자파라바드 구에 위치한다.[57]
- 아완 -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에 상당수가 거주하는 씨족으로, 주로 바그, 푼치, 하티안 발라, 무자파라바드에 거주한다. 아완족은 또한 파키스탄의 펀자브 및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에도 다수 거주한다.[55][56][57]
- 둔드 -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의 대규모 씨족으로, 주로 바그, 하티안 발라, 무자파라바드 구에 거주한다. 아보타바드와 상부 포토하르 펀자브에도 다수 거주한다.[55][56][57]
- 카슈미르인 - 민족 카슈미르인 인구는 닐람 계곡과 리파 계곡에서 발견된다(아자드 카슈미르의 카슈미르인 참조).[61]
6. 2. 종교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는 거의 전적으로 무슬림 인구로 구성되어 있다.[42] 기독교 커뮤니티 단체에서 관리하는 데이터에 따르면, 이 지역에는 약 4,500명의 기독교 주민이 있으며, 대부분 비임버에 거주하고 미르푸르와 무자파라바드가 그 뒤를 잇는다. 그러나 기독교 공동체는 AJK에서 주거 지위와 재산권을 얻기 위해 고군분투해 왔다.아흐마디 신앙을 따르는 사람들은 20,000명에서 25,000명 사이로 추산되며, 그들 대부분은 코틀리, 미르푸르, 비임버, 무자파라바드에 거주한다.[42]
바하이 신자 전체 수에 대한 공식 데이터는 없지만, 무자파라바드에는 6가구의 바하이 가정이 살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은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교 단체 | 1891[43] | 1901[44] | 1911[45] | 1921[46] | 1931[47] | 1941[48] | ||||||||
---|---|---|---|---|---|---|---|---|---|---|---|---|---|---|
인구 | ||||||||||||||
이슬람교 | 659,265 | 86.87% | 747,426 | 85.62% | 749,945 | 87.76% | 780,607 | 88.02% | 850,135 | 87.68% | 939,460 | 87.56% | ||
힌두교 | 92,639 | 12.21% | 108,331 | 12.41% | 84,130 | 9.85% | 81,733 | 9.22% | 87,554 | 9.03% | 93,559 | 8.72% | ||
시크교 | 6,918 | 0.91% | 17,132 | 1.96% | 20,391 | 2.39% | 24,491 | 2.76% | 31,709 | 3.27% | 39,910 | 3.72% | ||
자이나교 | 64 | 0.01% | 0 | 0.00% | 8 | 0.00% | 6 | 0.00% | 11 | 0.00% | 0 | 0.00% | ||
기독교 | 21 | 0.00% | 18 | 0.00% | 55 | 0.01% | 24 | 0.00% | 168 | 0.02% | 136 | 0.01% | ||
불교 | 0 | 0.00% | 0 | 0.00% | 2 | 0.00% | 0 | 0.00% | 0 | 0.00% | 0 | 0.00% | ||
조로아스터교 | 0 | 0.00% | 0 | 0.00% | 0 | 0.00% | 0 | 0.00% | 1 | 0.00% | 0 | 0.00% | ||
부족 | 0 | 0.00% | — | — | — | — | — | — | 0 | 0.00% | 0 | 0.00% | ||
유대교 | — | — | — | — | — | — | — | — | — | — | 0 | 0.00% | ||
기타 | 0 | 0.00% | 8 | 0.00% | 0 | 0.00% | 0 | 0.00% | 0 | 0.00% | 89 | 0.01% | ||
총 인구 | 758,907 | 100.00% | 872,915 | 100.00% | 854,531 | 100.00% | 886,861 | 100.00% | 969,578 | 100.00% | 1,073,154 | 100.00% | ||
6. 3. 언어
아자드 카슈미르의 공용어는 우르두어이며, 영어는 더 높은 영역에서 사용된다.[63] 그러나 인구의 대다수는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는 파하리-포트와리로 여러 방언을 가지고 있다.[62] 파하리-포트와리 언어 복합체의 방언은 아자드 카슈미르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남쪽의 펀자브어와 북서쪽의 힌드코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64] 아자드 카슈미르 남부 지역의 언어는 ''미르푸리'', ''포트와리'', ''파하리'' 등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펀자브의 포토하르 지역 동부에서 사용되는 포트와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아자드 카슈미르 중앙 지역의 방언은 ''치발리'' 또는 ''펀치''라고도 불리지만, 화자들은 일반적으로 ''파하리''라고 부른다. 북쪽으로 갈수록, 언어 형태는 점차 힌드코어로 바뀌며, 무자파라바드 구에서는 ''힌드코''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여전히 파하리의 핵심 방언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64] 닐람 계곡에서는 지역적으로 ''파르미''라고도 알려진 방언이 더 명확하게 힌드코어에 포함될 수 있다.고자리는 아자드 카슈미르의 또 다른 주요 언어이다. 전통적으로 유목민인 구자르족 사이에서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이 언어를 사용하며, 라자스탄어군 (특히 메와티어)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고, 펀자브어와도 특징을 공유한다.[65] 파키스탄 내에서 아자드 카슈미르의 고자리 방언은 인접한 하자라 지역의 구자르 방언과 더 유사하다.[65]
카슈미르어 화자들의 흩어진 공동체가 있으며,[66] 특히 닐람 계곡에서는 힌드코어 화자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언어 집단을 형성한다.[67] 카슈미르 무슬림들이 자신의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긴 것은 카슈미르어가 아닌 우르두어였다.[67]
최남단 빔버 구에는 도그리 화자들이 있으며, 이들은 구 인구의 거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62] 최북단 네룸 구에는 시나어, 파슈토어, 쿤달 샤히어를 사용하는 작은 공동체들이 있다.
7. 경제
이 지역의 관광 명소는 다음과 같다.
- '''무자파라바드'''는 아자드 카슈미르의 수도로, 젤룸 강과 네룸 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 라왈핀디와 이슬라마바드에서 138km 떨어져 있다. 무자파라바드 근처의 잘 알려진 관광 명소는 레드 포트, 피르 치나시, 파티카, 수브리 호수 및 아완 파티이다.
- '''네룸 계곡'''은 무자파라바드의 북쪽과 북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계곡으로 들어가는 관문이다. 계곡의 주요 관광 명소는 아스무캄, 쿠톤, 케란, 창간, 샤르다, 켈, 아랑 켈 및 타오밧이다.
- '''수다노티'''는 파키스탄의 아자드 카슈미르 10개 구 중 하나이다. 이슬라마바드에서 90km 떨어져 있다. 아자드 파탄 도로를 통해 라왈핀디 및 이슬라마바드와 연결된다.
- '''라왈라코트'''시는 푼치 구의 본부이며, 이슬라마바드에서 122km 떨어져 있다. 푼치 구의 관광 명소는 반조사 호수, 데비 갈리, 타타 파니 및 톨리 피르이다.
- '''바그'''시는 바그 구의 본부이며, 이슬라마바드에서 205km, 무자파라바드에서 100km 떨어져 있다. 바그 구의 주요 관광 명소는 바그 요새, 디르코트, 수단 갈리, 강가 호수, 강가 초티, 코틀라 폭포, 닐라 버트, 다나, 판잘 마스탄 국립 공원, 라스 다나이다.
- '''리파 계곡'''은 무자파라바드에서 남동쪽으로 105km 떨어져 있다. 아자드 카슈미르에서 관광객에게 가장 매력적이고 경치 좋은 곳이다.
- '''뉴 미르푸르 시'''는 미르푸르 구의 본부이다. 뉴 미르푸르 시 근처의 주요 관광 명소는 망글라 호수와 람코트 요새이다.
7. 1. 주요 산업
역사적으로 아자드 카슈미르의 경제는 농업에 기반을 두었으며, 주요 생산 수단은 토지였다.[69] 2021년 기준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의 GDP는 100억 파운드로 추산되며, 1인당 소득은 5,604파운드이다.[68]농업은 아자드 카슈미르 경제의 주요 부분으로, 저지대에서는 보리, 망고, 기장, 옥수수, 밀 등을 재배하고 가축을 기른다. 고지대에서는 임업, 옥수수, 가축이 주요 수입원이다. 미르푸르와 무자파라바드 근처에는 광물 및 대리석 자원이 있으며, 모리왈리에는 흑연 매장량이 있다. 저등급 석탄, 백악, 보크사이트, 지르콘 매장량도 존재한다. 지역 가정 산업에서는 조각된 나무 물건, 직물, 두리 카펫 등을 생산한다.[29] 예술 및 공예 산업에서는 남다스, 숄, 파시미나, 페란, 파피에 마셰 등의 문화 상품을 생산한다. 농산물로는 버섯, 꿀, 호두, 사과, 체리, 약초 및 식물, 수지, 데오다르, 카일, 치르, 전나무,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목재 등이 있다.[29][30][70]

1967년 망글라 댐 완공 이후 영국으로의 이주가 가속화되었고, 영국 미르푸리 공동체의 송금은 현재 아자드 카슈미르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950년대 중반부터 다양한 경제 및 사회 개발 과정이 시작되었으며, 1960년대 미르푸르 구에 망글라 댐이 건설되면서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정부는 파키스탄에 제공하는 전기에 대한 로열티를 받기 시작했다. 2000년대 중반에는 2005년 카슈미르 지진의 여파로 대규모 재건이 이루어졌다.[71] 농업, 섬유, 예술 및 공예 외에도 송금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2001년에는 25.1%를 차지했다는 분석도 있다. 고지대 거주자들이 저지대 거주자들보다 송금에 더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72]

관광 산업 또한 아자드 카슈미르의 주요 산업 중 하나이다. 주요 관광 명소로는 수도인 무자파라바드와 그 주변의 레드 포트, 피르 치나시, 네룸 계곡 등이 있다. 수다노티, 라왈라코트, 바그, 리파 계곡, 뉴 미르푸르 시 등도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지역이다.
7. 2. 관광
wikitext8. 교육
아자드 카슈미르의 문맹률은 2004년 62%로 파키스탄의 다른 지역보다 높았으나,[73] 2018년 76.60%,[74] 2019년 79.80%를 거쳐 2020-2021년 인구 조사에서는 91.34%로 크게 상승했다.[75] 그러나 졸업생은 2.2%에 불과하여 파키스탄 평균 2.9%에 비해 낮았다.[76]
파키스탄 고등 교육 위원회(HEC)에서 인정하는 대학교는 다음과 같다.[77]
대학교 | 위치 | 설립 | 유형 | 전공 | 웹사이트 |
---|---|---|---|---|---|
미르푸르 과학기술 대학교, 미르푸르 | 미르푸르 | 1980 (2008)* | 국립 | 공학 및 기술 | [http://www.must.edu.pk/] |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대학교 | 무자파라바드 | 1980 | 국립 | 일반 | [http://www.ajku.edu.pk/] |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대학교 (닐룸 캠퍼스) | 닐룸 | 2013 | 국립 | 일반 | [https://web.archive.org/web/20131213133609/http://ajku.edu.pk/campus.php?CampusID=2] |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대학교 (젤룸 계곡 캠퍼스) | 젤룸 계곡 구 | 2013 | 국립 | 일반 | [http://jvc.ajku.edu.pk/] |
알-카이르 대학교 | 빔버 | 1994 (2011*) | 사립 | 일반 | [http://www.alkhair.edu.pk/] |
모히-우드-딘 이슬람 대학교 | 네리안 샤리프 | 2000 | 사립 | 일반 | [http://www.miu.edu.pk/] |
푼치 대학교 (라왈라코트 캠퍼스) | 라왈라코트 | 1980 (2012)* | 국립 | 일반 | [http://www.upr.edu.pk/index.php] |
푼치 대학교 (SM 캠퍼스, 몽, 수드노티 구) | 수드노티 구 | 2014 | 국립 | 일반 | [http://www.upr.edu.pk/?option=articles&id=192] |
푼치 대학교 (카후타 캠퍼스, 하벨리 구) | 하벨리 구 | 2015 | 국립 | 일반 | [http://www.upr.edu.pk/?option=articles&id=192] |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여성 대학교 바그 | 바그 | 2013 | 국립 | 일반 | [http://www.wuajk.edu.pk/] |
경영 과학 및 정보 기술 대학교 | 코틀리 | 2014 | 국립 | 일반 | [https://web.archive.org/web/20141108144942/http://www.umsit.edu.pk/] |
미르푸르 과학기술 대학교 (빔버 캠퍼스) | 빔버 | 2013 | 국립 | 과학 및 인문학 | [http://www.must.edu.pk/] |
* 대학교 지위 부여.
파키스탄 의학 및 치의학 위원회(PMDC)에서 인가한 학부 의과대학에는 모흐타르마 베나지르 부토 샤히드 의과대학,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의과대학, 푼치 의과대학, 모히우딘 이슬람 의과대학 등이 있다.[78] 이 외에도 팔란드리 사관학교, 무자파라바드 사관학교, 미르푸르 사관학교가 있다.
9. 스포츠
축구, 크리켓, 배구는 아자드 카슈미르에서 매우 인기가 높다. 많은 토너먼트가 연중 열리며, 라마잔의 성스러운 달에는 야간 조명 토너먼트도 개최된다.
아자드 카슈미르는 2021년에 시작된 자체 T20 토너먼트인 카슈미르 프리미어 리그(Kashmir Premier League)를 개최한다.
뉴 미르푸르 시에는 국제 규격에 맞게 개조하기 위해 파키스탄 크리켓 위원회(Pakistan Cricket Board)가 인수한 크리켓 경기장(카이드-에-아잠 스타디움(Quaid-e-Azam Stadium))이 있다. 무자파라바드에도 8,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크리켓 경기장이 있다. 이 경기장에서는 2013년 인터 디스트릭트 19세 이하 토너먼트 8경기가 열렸다.
다음과 같은 축구 클럽도 등록되어 있다.
- 파일럿 축구 클럽
- 유스 축구 클럽
- 카슈미르 내셔널 FC
- 아자드 슈퍼 FC
10. 저명한 인물
- 니사란 아바시, 정치인이다.
- 무자히다 후세인 비비, 시타라-에-주라트 수상자이다.
- 막불 후세인, 시타라-에-주라트 수상자이다.
- 사이프 알리 잔주아, 니샨-에-하이데르 수상자이다.
- 아지즈 칸, 파키스탄 합동참모총장 (CJCSC) 11대 의장이다.
- 칸 무하마드 칸, 1947년 푼치 반란 당시 전쟁 위원회 의장을 지낸 파키스탄 푼치 구 출신 정치인이다.
- 무하마드 하야트 칸, 전 아자드 카슈미르 대통령이다.[79]
- 사르다르 이브라힘 칸, 초대이자 최장 기간 아자드 카슈미르 대통령이다.
- 마수드 칸, 전 아자드 카슈미르 대통령이자 현 주미 파키스탄 대사이다.
- 자만 칸, 현재 파키스탄 크리켓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는 크리켓 선수이다.
- 칼리드 마흐무드, 영국의 정치인이자 버밍엄 페리 바 노동당 하원의원이다.
- 이르판 사비르, 캐나다 정치인이자 캘거리-불라-맥콜 NDP 주의원이다.
- 모하마드 야신, 영국의 정치인이자 베드퍼드 노동당 하원의원이다.
참조
[1]
뉴스
Kashmir profile
https://www.bbc.com/[...]
2015-07-24
[2]
뉴스
Education spending in AJK
https://tribune.com.[...]
2022-12-08
[3]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20-03-15
[4]
서적
Contested Land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12-21
[5]
백과사전
Azad Kashmir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Fiscal Decentraliz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11-15
[7]
백과사전
Kashmir, region Indian subcontinent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2019-08-15
[8]
백과사전
Azad Kashmir
https://www.britanni[...]
2021-04-17
[9]
웹사이트
Underdevelopment in AJK
http://www.thenews.c[...]
2016-06-18
[10]
웹사이트
Education emergency: AJK leading in enrolment, lagging in quality
http://tribune.com.p[...]
2016-06-18
[11]
간행물
Languages of Belonging: Islam, Regional Identity, and the Making of Kashmir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12]
간행물
The Question of Accession
https://books.google[...]
2020-05-08
[13]
웹사이트
The J&K conflict: A Chronological Introduction
http://www.indiatoge[...]
India Together
2010-06-05
[14]
백과사전
Kashmir (region, Indian subcontinent)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s://www.britanni[...]
2010-06-05
[15]
간행물
Demystifying Kashmir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2016-09-27
[16]
웹사이트
Kashmir: Why India and Pakistan fight over it
https://www.bbc.com/[...]
2018-06-21
[17]
뉴스
Grasping the Nettle
http://www.southasia[...]
[18]
웹사이트
UN resolution 47
http://daccess-ods.u[...]
2012-09-11
[19]
웹사이트
UNCIP Resolution of August 13, 1948 (S/1100) – Embassy of India, Washington, D.C.
http://www.indianemb[...]
[20]
서적
Kashmir: history, politics, represen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21]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Protest Movement In Azad Jammu & Kashmir
https://thefridaytim[...]
2024-05-15
[22]
간행물
Indigenous Peoples and Ethnic Minorities of Pakistan: Constitutional and Leg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2013-02-01
[23]
웹사이트
Act 1974: AJK approves 13th Amendment
https://www.thenews.[...]
2024-05-16
[24]
웹사이트
UNMOGIP: United Nations Military Observer Group in India and Pakistan
https://www.un.org/D[...]
[25]
서적
Pakistan after Trump: Great Power Responsibility in a Multi-Polar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21-03-08
[26]
웹사이트
How free is Azad Kashsmir
http://indianexpress[...]
2016-03-26
[27]
웹사이트
Rediff on the NeT: PoK not part of its territory: Pakistan
http://www.rediff.co[...]
2022-05-03
[28]
웹사이트
Status of AJK in Political Milieu
https://www.ips.org.[...]
2023-05-17
[29]
웹사이트
Azad Kashmir
https://www.britanni[...]
2019-11-14
[30]
웹사이트
Azad Jammu and Kashmir – Introduction
http://www.ajk.gov.p[...]
2010-06-22
[31]
웹사이트
AJ&K Portal
http://ajk.gov.pk/hi[...]
2016-11-16
[32]
뉴스
Pakistan to observe Kashmir Solidarity Day today
http://www.hindu.com[...]
2008-02-05
[33]
뉴스
Kashmir Day being observed today
http://www.thenews.c[...]
2008-02-05
[34]
웹사이트
Pakistan: 'Free Kashmir' Far From Free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7-02-05
[35]
문서
[36]
웹사이트
Report and Recommendation of the President to the Board of Directors on a Proposed Loan to the Islamic Republic of Pakistan for the Multisector Rehabilitation and Improvement Project for Azad Jammu and Kashmir
https://www.adb.org/[...]
Asian Development Bank
2004-11
[37]
웹사이트
Pakistan Donor Profile and Mapping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in Pakistan
2014-08
[38]
웹사이트
Administrative Setup.
http://www.ajk.gov.p[...]
ajk.gov.pk
[39]
웹사이트
Census 2017: AJK population rises to over 4m
https://nation.com.p[...]
2017-08-26
[40]
웹사이트
AJ&K at a Glance
http://www.ajk.gov.p[...]
[41]
간행물
With Friends Like These...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6-09
[42]
웹사이트
The Plight of Minorities in 'Azad Kashmir'
https://asianlite.co[...]
Asianlite.com
2019-01-14
[43]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891. Volume XXVIII, The Kashmir state : the report on the census and imperial and supplementary tables
https://www.jstor.or[...]
[44]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01. Vol. 23A, Kashmir. Pt. 2, Tables.
https://www.jstor.or[...]
[45]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11. Vol. 20, Kashmir. Pt. 2, Tables.
https://www.jstor.or[...]
[46]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21. Vol. 22, Kashmir. Pt. 2, Tables.
https://www.jstor.or[...]
[47]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31. Vol. 24, Jammu & Kashmir State. Pt. 2, Imperial & state tables.
https://www.jstor.or[...]
[48]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41. Vol. 22, Jammu & Kashmir
https://www.jstor.or[...]
[49]
서적
Understanding Kashmir and Kashmiri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9-15
[50]
서적
The Territorial Management of Ethnic Conflict
Routledge
2004-08-02
[51]
서적
Understanding Kashmir and Kashmiris
https://books.google[...]
Hurst
2015-09-15
[52]
간행물
Consanguinity and Its Sociodemographic Differentials in Bhimber District, Azad Jammu and Kashmir, Pakistan
2014-06
[53]
간행물
Kashmir Crisis: View from Mirpur
https://web.archive.[...]
1991-03-02
[54]
서적
Strategic Coercion: Concepts and Cas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55]
문서
Snedden
2013
[56]
웹사이트
District Profile - Rawalakot/Poonch
https://web.archive.[...]
Earthquake Reconstruction and Rehabilitation Authority
2007-07
[57]
웹사이트
District Profile - Bagh
https://web.archive.[...]
Earthquake Reconstruction and Rehabilitation Authority
2007-06
[58]
웹사이트
"With Friends Like These...": Human Rights Violations in Azad Kashmir: II. Background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59]
서적
The Untold Story of the People of Azad Kashmir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60]
뉴스
South Asia | The limits to integration
http://news.bbc.co.u[...]
2006-11-30
[61]
서적
Understanding Kashmir and Kashmiri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2]
서적
Statistical Year Book 2020
https://www.pndajk.g[...]
AJ&K Bureau Of Statistics
[63]
문서
Snedden
2013
[64]
문서
Lothers
2010
[65]
문서
Hallberg
1992
[66]
문서
Rahman
2002
[67]
문서
Rahman
1996
[68]
웹사이트
Ajk At A Glance-AJ&K Official Portal - Ajk Gov
http://www.ajk.gov.p[...]
[69]
웹사이트
History of Planning & Development Department in AJK
https://web.archive.[...]
[70]
웹사이트
Azad Jammu & Kashmir – Tourism
http://www.ajk.gov.p[...]
[71]
뉴스
"'Rs1.25 trillion to be spent in Azad Kashmir': Reconstruction in quake-hit zone"
http://www.dawn.com/[...]
2006-10-01
[72]
웹사이트
Remittances in crises: a case study from Pakistan
http://www.sdpi.org/[...]
2010-06-05
[73]
뉴스
Literacy Rate in Azad Kashmir nearly 62 pc
http://pakistantimes[...]
2004-09-27
[74]
웹사이트
AJK at a Glance 2018 pndajk.gov.pk
https://www.pndajk.g[...]
[75]
웹사이트
Ajk at a Glance 2019
https://pndajk.gov.p[...]
[76]
뉴스
Washington conference studies educational crisis in Pakistan
http://www.dailytime[...]
2005-04-17
[77]
웹사이트
Our Institutions
http://www.hec.gov.p[...]
Higher Education Commission of Pakistan
2013-11-19
[78]
웹사이트
Recognized medical colleges in Pakistan
http://www.pmdc.org.[...]
Pakistan Medical and Dental Council
2013-11-19
[79]
웹사이트
Pakistani Times
http://pakistantimes[...]
Pakistantimes.net
2010-01-21
[80]
웹사이트
Azad Jammu and Kashmir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
2023-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